본문 바로가기

아무나 자유글 올리는곳

韓 “3국 한 배 탔다” 日 “적극 공조” 中 “충돌 피해야”

이명박 대통령과 하토야마 일본 총리,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29, 30일 양일간 제주도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에서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입장을 표명했다.

 우리 정부는 일ㆍ중 양국이 공동발표문을 통해 천안함 사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같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중국은 공개적으로 북한 관련 언급을 하는 것을 매우 조심스러워해서 천안함 사태 얘기가 공동발표문에 들어가는 것도 조심스러워했다"면서 "(언론발표문은) 3국의 공통인식 가운데 '보텀 라인(bottom line:한계선)'을 끌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 역시 그동안 견지해온 적극적인 공조와 지지 의사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천안함 외교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의 경우 구체적이고 신속한 대응 의사보다는 평화와 안정이라는 원칙을 강조하는 선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입장을 정리했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유엔 안보리 회부 등 국제적 대북 제재 전략의 성패는 여전히 중국 변수에 좌우될 공산이 커졌다.

 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가 이번주 중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에게 서한을 발송하는 형식으로 안보리 회부 절차에 공식 착수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이 소극적 입장을 견지할 경우 결의안 채택 대신 의장성명(chairman's statement)으로 대응수위를 낮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청, "한ㆍ일ㆍ중 3국 한 배 탔다"=이 대통령은 "두 분께서 (천안함 사태에 대해) 위로와 격려를 해주시고 적극 이해와 협력을 약속해 주신 데 대해 매우 고맙게 생각한다" 면서 "이제 천안함 사태는 국제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하나의 과제로 나와 있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천안함 사태는 기본적으로 (3국 간) 합의가 어려운 사안인데 중국도 함께 한 배를 탄 게 중요하다"면서 "두 나라 정상이 아니라 세 나라 정상이 함께 합의한 언론발표문을 낸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의 입장이 진전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지난 양자회담 등을 통해 한국 정부의 입장과 천안함의 실상을 더 확실하고 완전하게 이해하는 계기가 됐을 것으로 보고 앞으로 양국 협력에 대한 기대를 갖고 지속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일 "적극 공조, 지지" =하토야마 총리는 "천안함 사건에 관해서는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과 관련되는 심각한 문제라는 공통인식을 갖게 됐다"면서 "3국이 이 문제에 관해 앞으로도 긴밀하게 공조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하토야마 총리는 이어 "북한의 명백한 반성과 사죄가 전제돼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할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강조해 온 '선(先) 천안함-후(後) 6자회담' 전략을 적극 지지했다.

 하토야마 총리는 "국제 합동 조사단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물증을 통해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천안함이 침몰된 것이라는 게 분명히 드러났다"고 말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하토야마 총리는 "일본의 독자적인 추가 제재도 이미 행동에 옮겼지만 이 같은 군사적 도발은 당연히 용납돼서는 안 된다"며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게 당연하고 강력히 지지하겠다. 북한에 잘못된 메시지를 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 "충돌 피해야" 원칙 강조=원 총리는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바로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생긴 영향과 긴장을 점차적으로 해소하며 특히 충돌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 총리는 "의사소통과 조율을 적절하게 하고 사태를 평화, 안정에 유리한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야 하며 이는 우리의 공고한 이익과 장래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원 총리는 이어 "우리는 반드시 3개국의 근본적인 이익에 입각해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중대한 문제에 대해 서로 배려를 해주며 민감한 문제를 타당하게 처리하고 정치적 신뢰를 강화해야 한다"며 "우리는 반드시 모든 노력을 통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시켜야 한다. 이 전제조건이 없으면 발전도 이야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양춘병 기자(yang@heraldm.com)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