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나 자유글 올리는곳

쌍용차 어디로 가나… “회생자신” 불구 협력사 줄부도 등 ‘암초’

누세리티 2009. 8. 6. 06:11
파업 노동자들을 강제진압하면 쌍용차는 살아날 수 있을까. 경찰이 공장 점거파업을 벌이고 있는 쌍용차 노조원들에 대한 강제해산 작전을 펼침에 따라 이후 쌍용차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쌍용차 사측은 생산만 재개되면 회생의 길로 나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파업이 종결되면 2~3일 안에 시설점검을 마치고 훼손된 설비를 복구, 7~10일이면 생산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계산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생산이 재개되면 당초 계획한 올해 2만7000대 생산이 가능해져 예정대로 회생 절차를 밟을 수 있다"며 "9월15일 회생계획안을 제출하는 데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측은 아직 출고되지 않은 물량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생산 재개와 동시에 차를 팔아 시설 운영자금을 확보하고, 퇴직금 등 구조조정 비용은 금융권에서 지원받는다는 계획도 세워놨다.

그러나 쌍용차가 다시 일어서기까지는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우선 공장 재가동이 사측의 생각처럼 간단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핵심 생산라인인 도장1·2, 차체1·2, 조립3·4 공장의 기계가 70일 이상 멈췄던 만큼 상태를 알기 힘들어서다.

부품 조달도 문제다. 1차 협력사 32곳 중 부도를 냈거나 법정관리 중인 업체가 4곳, 휴업 상태가 25곳에 이르는 등 협력업체들의 상황이 좋지 않아 부품 공급이 제때 이뤄질지 알 수 없다. 국내외 영업망이 무너져 생산한 차를 파는 데도 전보다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점도 문제다.

더 큰 문제는 현 경영진으로는 시장의 신뢰를 얻어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노조와의 '끝장 협상'으로도 타협점을 이끌어내지 못한 현 경영진으로는 파업 종료 뒤에도 이어질 노조와의 문제를 푸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파업 강제진압으로 생산을 재개하더라도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파산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쌍용차가 다음달 15일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지만, 이전에라도 법원에서 회사의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높다고 판단해 법정관리 절차를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법정관리 절차가 폐지되면 쌍용차는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자산을 처분하고 채권자에게 분배한 뒤 채무자(회사)가 해산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파산 이후 쌍용차는 완전이 없어지거나, 제3자 매각을 통해 새 법인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그러나 쌍용차는 평택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고용 효과가 크기 때문에 청산은 어떤 방향이든 여파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쌍용차가 자력생존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른 근본 원인은 상하이차에 내다판 정부에 있는 만큼 정부와 금융권이 나서 쌍용차의 파산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 정유미기자 youme@kyunghyang.com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